Bard는 구글에서 만든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chatGPT와 비슷해요
구글에서 Bard 베타버전을 테스트 중에 있습니다. Bard의 경우 예전에 시현 중에 오류가 발생했던 적이 있었는 데 이번에는 테스트 버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(http://bard.google.com 으로 접속하시면 베타버전을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.)
Bard에도 chatGPT처럼 게임 코드를 만들어 줄 수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.
나: 갤러그 게임을 제작해줘
Bard: 네. 갤러그 게임을 만들 수 있습니다. 다음은 단계입니다.
- Pygame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.
- 새 파일을 만들고 “game.py”라고 이름을 지정합니다.
- 다음 코드를 파일에 붙여넣습니다.
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|
import pygame from pygame.rect import * import random # 게임의 초기화 pygame.init() screen = pygame.display.set_mode((640, 480)) background = pygame.Surface(screen.get_size()) background.fill((0, 0, 0)) # 플레이어 우주선 player = pygame.Rect(100, 100, 50, 50) player_image = pygame.image.load("player.png") # 적 우주선 enemy = pygame.Rect(random.randint(0, 640), random.randint(0, 480), 50, 50) enemy_image = pygame.image.load("enemy.png") # 미사일 missile = pygame.Rect(player.x + 25, player.y, 25, 25) missile_image = pygame.image.load("missile.png") # 게임 루프 running = True while running: # 이벤트 처리 for event in pygame.event.get(): if event.type == pygame.QUIT: running = False elif event.type == pygame.KEYDOWN: if event.key == pygame.K_LEFT: player.x -= 10 elif event.key == pygame.K_RIGHT: player.x += 10 elif event.key == pygame.K_SPACE: missile.x = player.x + 25 missile.y = player.y # 배경 그리기 screen.blit(background, (0, 0)) # 플레이어 우주선 그리기 screen.blit(player_image, player) # 적 우주선 그리기 screen.blit(enemy_image, enemy) # 미사일 그리기 screen.blit(missile_image, missile) # 충돌 감지 if missile.colliderect(enemy): enemy.x = random.randint(0, 640) enemy.y = random.randint(0, 480) # 화면 업데이트 pygame.display.flip() # 게임 종료 pygame.quit() |
이 코드는 간단한 갤러그 게임입니다. 더 많은 기능을 추가하여 게임을 더 재미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더 많은 적 우주선을 추가하거나, 미사일이 적 우주선을 맞추면 점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.
코드를 보면 chatGPT에서 알려준 코드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.
Bard도 파이썬 코드를 바탕으로 요청한 코드를 알려주는 듯 하고 파이썬이면 게임을 만들 때 pygame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코드 형태가 유사한 것 같습니다.
chatGPT와 결과 값을 보여주는 화면에서 다른 점이라면
- 다른 답안 보기
- 결과 값 하단에 출처를 표시
- 내보내기(colab) 기능
이정도 일 듯 합니다.
ㅁ 다른답안 보기를 누르면 바로 다른 답안을 같이 볼 수 있습니다.

ㅁ 또, 답변 하단에 출처를 표시해 줘서 원문을 찾아 볼 수도 있습니다.

ㅁ 마지막으로, colab으로 코드를 내보내는 기능입니다. colab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도구로 온라인상에서 파이썬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할 수 있어 bard와 연계하면 코딩하는데 있어 편리한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.

결과적으로 좀 더 사용해봐야 할 듯 하지만 프로그래밍 목적으로 대화형 인공지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bard가 좀 더 편리하지 않나 생각이 드네요(colab과 연동되는 부분이나, 출처를 표시해주는 부분 등)
이미지를 이용해 질문할 수도 있는데 이 부분은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좀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아직 베타 테스트 버전이라 얼마나 안정적인 답변을 주는지는 모르겠지만, chatGPT보다는 사용하기 편리한 것 같습니다. 앞으로 bard 사용기는 계속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.